건설기계기술사 11

(건설기계-건설기계) 건설기계 선정 시 (사용계획 수립 시) 고려사항

1) 아래 사항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건설기계를 선정분류내용작업 목적-현장 제반 사항 고려 -작업종류, 공사규모, 작업장소, 토질, 지형, 운반거리, 굴착고경제성경제성 (단위 작업당 비용) 고려보유 실태수급이 용이한 건설기계 고려시공 기술공사 시공에 적합한 건설기계 고려성능 및 효율성능이 안정되고 신뢰도가 높은 건설기계 선정조합효율 및 호환성범용성이 높은 건설기계 선정기타 고려사항(추후 정리)공사 및 작업종류의 분류작업조건 검사 : 토질 및 암질 작업물량과 기계조합의 검사 공기, 시공품질과의 관계작업환경 준수(소음. 진동공해)안전사고 및 돌발 사태의 발생 기능성건설기계의 현장 반입 시기건설기계의 제작사 판매 자의 신용 및 사후관리 정도특수운전원의 필요성법규, 품질규정 및 계약상의 원가절감요소 검토 건설..

(건설기계-건설기계) 건설기계의 안전사고의 형태,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

ü 건설기계 안전사고1)   개요①  건설 공사의 기계화 시공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/ 사고 발생률이 증대하고 있다.(고용노동부 통계자료를 참고하면 / 건설업의 재해발생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VS 건설기계에 의한 사고는 증대)2)   건설기계 안전사고의 원인 및 대책소분류원인 (원인 위주로 숙지)대책 (비슷한것으로 매칭)설계-설계오류 -시공시 공학적 검증 불충분-부적절한 건설기계 선정-안전 기준 표준화+작업자-미숙련 작업자-규정 미준수-안전관리 체계화, 안전일지 작성-현장 근로자 정기안전교육 실시시공-안전설비 미비-건설기계 정기점검 미비 -화재 취약-작업장 협소 -건설기계 주변 미통제-신호전달 미흡-안전시설물 설치, 안전보호장구 구비-정기 점검 실시 -화기 위험물 보관 상태 확인-작업장 정리 정돈 -안전..

(건설기계 - 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 건설기계 주요구조의 변경 및 개조의 범위와 구조변경 불가사항

건설기계관리법령에서 건설기계 주요구조의 변경 및 개조의 범위와 구조변경 불가사항1)   구조변경범위 등 (건설기계관리법 시행규칙 제42조[시행 2020. 3, 3.])①  법 제17조 제2항의 규정에의한 주요구조의 변경 및 개조의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. [다만, 건설기계의 기종변경, 육상작업용 건설기계규격의 증가 또는 적재함의 용량증가를 위한 구조변경은 이를 할 수 없다. 〈개정 2003. 9. 26, 2019. 3. 19)]a.   원동기 및 전동기의 형식변경b.   동력전달장치의 형식변경c.    제동장치의 형식변경d.   주행장치의 형식변경e.   유압장치의 형식변경f.    조종장치의 형식변경g.   조향장치의 형식변경②  작업장치의 형식변경. 다만, 가공작업을 수반하지 아니하고 (작업장치를..

(건설기계 - 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건설기계 관리법

건설기계 관리법1) 용어의 정의① 건설기계a. 건설 공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계로 대통령이 정함2) 건설기계범위 (27종) –「건설기계관리법」 시행령① 불도저② 굴삭기③ 로더④ 지게차⑤ 스크레이퍼⑥ 덤프트럭⑦ 기중기⑧ 모터그레이더⑨ 로울러⑩ 노상안정기⑪ 콘크리트 뱃칭플랜트⑫ 콘크리트 피니셔⑬ 콘크리트 살포기⑭ 콘크리트 믹서 트럭⑮ 콘크리트 펌프16 아스팔트 믹싱플랜트17 아스팔트 피니셔18 골제 살포기19 쇄석기20 공기압축기21 천공기22 항타 및 항발기23 사리채취기24 준설전25 타워크레인26 도로보수트럭

(건설기계 - 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

ü 계약의 종류1)   계약금액 정산방법에 따른계약 (Lump Sum, Cost+Fee 단가 계약)2)   업무범위에 따른 계악 (Turnkey, CM 계약, PM계약) ü Turnkey 공사 (참고)1)   개요①  Turnkey란 : 열쇠만 돌리면 쓸 수 있다”라는 뜻으로 발주자에게 해당되는 말.②  시공자가 사업발굴, 기획 타당성 조사, 설계, 시공, 시운전, 운영, 유지관리까지 발주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조달하여 인도하는 도급계약방식 (국내) ü 건설사업관리(CM : Construction Management)1)   개요① 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보다 효율적, 경제적 수행하기 위해 / 각 부문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CM or CM 회사의 통합된 관리 기술을 건축주에게 서비스하는 행위.②  건설공사..

(건설기계 - 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 석유화학 플랜트에서 최첨단 환경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설비 및 시설

석유화학 플랜트에서 최첨단 환경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설비 및 시설1)  최첨단 환경관리 시스템①  종전의 (대기·수질, 토양·폐기물 등) 환경 매체별로 관리하던 방식을 하나로 통합하여 (저비용·고효율의 최적기술을 적용하여) 오염 물질의 배출을 최소·최적화하는 환경관리 시스템2)   수질①  (관련 기관 및 목적에 따라) 분절적으로 조사수집 되고 있는 수환경 정보의 효율적 수집, 관리, 공유를 위한 수환경 통합 정보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필요3)   대기①  인구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보급형 센서에 기반한 고해상도 대기질을 계측하여 인프라 구축②  빅데이터 및 수치예보 결과와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한 인공지능 대기질 예측시스템을 실용화③  실시간으로 수집된 대용량의 데이터를 국가측정망 자료와 연계하여 활..

(건설기계-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 플랜트 건설 공사계획 수립 (현장 개설 시)

플랜트 건설 공사계획 수립 (현장 개설 시) 1)   개요 ①  (품질, 안전 확보와 공기내 경제적 시공 하려면) 현장에 적합한 시공방법을 전문가 집단에 의해 계획하고 / 충분한 조사에 의해서 입안되어야 한다.2)   검토 사항①  발주처 요구 계약조건 검토②  (공사 현장) 시공 조건 검토③  부지조건 조사④  설계도서 검토3)   플랜트 건설의 공사 계획 수립 단계 계획 수립상세[기본 계획] 수립품질, 시공성, 적정공기, 경제성, 안전성 및 환경성 고려하여 수립-Master schedule – 각종 계획-(주, 월간) 상세계획수립-기본 & 상세 설계 / 출도 계획-원자재, 기자재 구매, 반입 계획-재료표(BM : Bill of Material) 작성-인허가 및 민원사항 점검[가설공사 계획] 수립가설설..

(건설기계 - 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플랜트 공사 계획 수립 시 / 고려 사항

구분설명공사 계획 (Project Planning)조직 구성 - Kick off Meeting - Planning & Scheduling - QA/HSE(보건안전환경) 계획 - 실행예산 수립 - 원가/공정 관리설계 (Engineering)발주처 요구사항 / 관련기관의 규정 준수하여 경제적 설계개념설계 (Conceptual Design)(기술적, 경제적, 타당성 검토하여) Project 실현 가능 여부 검토를 위한 설계 기본설계 (Basic Design)  발주처 수행 (특정 공정분야의 라이센스사 외주) 영문으로 외움- 주요기기의 스펙을 설계하고 전체적인 구성을 검토한다.- FEED나 상세설계를 위한 스케치 작업- Process 설계가 가장 핵심 물질 수지 – Mass Balance (공정 흐름도)열 수지..

(건설기계-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 EPC건설 공사에서 Risk 관리

EPC 공사의 개요1)   대형건설 프로젝트는 시공자가 설계, 조달, 시공, 시운전 전체를 수주하여 / 준공 후에 성능검사까지 완료하여 / 발주처에 Turn Ove, 2)   설계, 조달, 시공 (Engineering + Procurement + Construction) 일괄 발주 계약3)   턴키(turn-key)와 비슷. EPC 공사 사업 타당성 검토 – 건설 계약자의 관점 1)   경제적 검토①  Project의 ‘거시 경제적 성과’를 측정②  투자 효율성(Cost Benefit Analysis) 및 시장성(Market ability)평가2)   재무적 검토①  Project의 ‘미시 경제적 성과’를 측정②  투자여부 판단a.   재무적 내부투자 수익률 (FIRR : Financial Interna..

(건설기계 - 건설공사 법령, 계약 및 관리) [작업효율, E]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/대책

[작업효율, E]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/대책1)   특징①  표준적인 작업 능력(Q)에서 작업현장의 여러상황(제반조건)을 반영하기위한 효율.②  보통 50~80% 정도 2)   공식①  작업효율 = 작업 능력계수, μ × 실작업시간,T②  작업능력계수, μa.   작업현장 여건(기상, 지형, 토질, 공사규모, 시공 방법, 기계 종류, 운전숙련도)을 고려한 계수 3)   (작업 효율 E) 저하 요인 & 대책저하 요인대책기계 노후화, 고장, 정비불량-일상점검, 정기점검 실시-노후기계 교체(작업 환경, 제반사항 대비) 부적절한 기계 선정적절한 기계선정선작업 지연, 사전 작업준비 미비 등-CPM(Critical Path Method) 공정관리 활용하여 작업 지연 방지-사전 작업 준비 철저안전사고안전관리 준수 및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