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설기계기술사

(건설기계-건설기계) 건설기계의 안전사고의 형태,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

유후우PEPE 2025. 3. 31. 08:31

ü 건설기계 안전사고

1)   개요

  건설 공사의 기계화 시공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/ 사고 발생률이 증대하고 있다.

(고용노동부 통계자료를 참고하면 / 건설업의 재해발생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VS 건설기계에 의한 사고는 증대)

2)   건설기계 안전사고의 원인 및 대책

소분류 원인 (원인 위주로 숙지) 대책 (비슷한것으로 매칭)
설계 -설계오류
-시공시 공학적 검증 불충분
-부적절한 건설기계 선정
-안전 기준 표준화+
작업자 -미숙련 작업자
-규정 미준수
-안전관리 체계화, 안전일지 작성
-현장 근로자 정기안전교육 실시
시공 -안전설비 미비
-건설기계 정기점검 미비
 
-화재 취약
-작업장 협소
 
-건설기계 주변 미통제
-신호전달 미흡
-안전시설물 설치, 안전보호장구 구비
-정기 점검 실시
 
-화기 위험물 보관 상태 확인
-작업장 정리 정돈
 
-안전관리 요원 배치
-건설기계 회전 반경에 신호수 배치
기후 -천재지변 (기온, 강우, 강풍)
-비상 방호시설 미흡
-작업시간 조정, 휴식 부여
-비상 방호시설 설치
고용, 계약 -하도급 문제
-고용관리 결함
-법적 준수하여 하도급 계약
-프로젝트 범위에 따른 적절한 고용

3)   결론

  (건설장비 안전사고 방지 위해서는) / 법률 (산업 안전보건법 및 건설기계 관리법) 준수해야 하며

  건설사별로 본사, 현장 별로 안전지침의 준수와 수립이 필요하다.